2) 대인관계의 발달
아동기에는 학교생활을 하면서부터 부모에 대한 의존이 줄어들고 교사 및 또래집단과의 관계가 빈번해지기 때문에, 부모는 아동의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하고 너무 간섭하거나 금지하는 태도를 지양해야 한다. 또한 부모는 아동의 자유시간과 의사를 존중하고 아동의 행동에 적응할 필요가 있다.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는 교사와 아동 간의 관계이다. 교사는 아동에게 대리 부모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동일시 대상, 훈육자, 불안 제거자, 집단지도자, 자아 옹호자, 판단자, 지식자원자, 상담자, 적대 감정의 표적, 애정 대상자 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교사가 아동에게 긍정적이고 독립성을 강조하며 허용적이면 아동은 융통성, 책임감, 창의성, 감정표출의 능력 등이 높아지며, 건설적이고 집단활동에 많이 참여하게 된다. 그러나 교사가 아동에게 처벌적이고 권위적이며 엄격하면 아동은 교사와 학교에 대해서 부정적 태도를 지니게 되며, 긴장과 공격성이 심하고 적응 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아동의 학교생활에서 또래와의 관계는 학교생활의 적응과 발달은 물론 대인관계의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아동은 또래와 어울리면서 그들과의 의사소통의 방법을 배우며, 자신에 대하여 새로운 지각을 할 수 있게 되고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아동기에 또래집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은 아동은 그들의 집단에서 소외감을 갖게 된다.
또래집단의 관계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구조가 조직화하여 가며, 또래집단 속에는 단짝친구를 갖게 된다. 단짝친구는 아동기는 물론 그 이후의 대인관계의 적응양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성격 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김경희, 2001:229) 따라서 부모와 교사는 아동의 교우관계를 파악하고 적절히 지도함으로써 아동이 그들에게 인정받고 잘 적응하여 사회성 발달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성역할은 어떤 개인이 소속된 문화권 내에서 남성 또는 여성의 특징을 지닐 수 있는 자질이다. 즉, 이것은 남성과 여성에 따라 각기 달리 기대되는 행동양식을 의미한다. 아동이 자신의 성역할을 인식하고 이에 적합하게 행동하고자 하는 경향은 아동기 사회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아동이 자신에게 기대되는 성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성정체성, 성안정성, 성항상성의 획득은 성역할 이해의 기초가 된다. (송명자, 1996:303)
성정체성(gender identity)은 3세경의 유아가 최초로 자신을 남자 또는 여자로 범주화하는 능력이다. 성안정성(gender stability)은 4~5세경이 되면 남아는 자라서 남자 어른이 되고 여아는 자라서 여자 어른이 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성항상성(gender consistency)은 5~7세경이 되면 사람의 행동이나 겉모습이 달라지더라도 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Shaffer, 1999:497)
남성과 여성의 구분에 관한 인식이 발달함에 따라 아동은 점차 어떤 특성, 대상 또는 행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또는 여성에게 국한되어 적용된다는 성역할 지식을 획득하게 된다. 성역할 지식이 획득되면서 아동은 성고정관념을 갖게 된다. 성고정관념(gender stereotypes)은 특정 행위는 활동이 남성 또는 여성에게 배타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사고를 말한다. 즉, 이것은 어떤 특성이나 활동이 남성 또는 여성만이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성고정관념의 발달은 6세경의 아동에게 강하게 나타나다가 9세 이후에는 보다 융통성 있는 사고를 보여준다. 성고정관념은 과거보다 약화하거나 모호해졌지만 아직도 존재하고 있다.
4) 대중매체의 영향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대중매체로는 TV와 컴퓨터가 있다. TV는 일반적으로 아동에게 학습 의욕을 저하시키고, 공격성을 증가시키며, 비만을 불러일으키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나 가족 간의 유대를 약화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TV는 아동이 어떤 프로그램을 시청하는가에 따라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TV가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 발달, 행동 발달 및 신체 발달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인지 발달의 측면에서 TV는 아동에게 읽기, 셈하기, 분류화, 서열화 등 학교생활에서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최경숙, 2001:424) 행동 발달 측면에서는 아동에게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공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적 고정관념을 학습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이다. 신체 발달의 측면에서는 아동의 시력, 척추 발달, 근육 발달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컴퓨터가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긍정적 영향으로는 컴퓨터가 아동의 학업성취와 학습 흥미를 높이는 효과적인 기제이며,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고 자기 효율을 촉진할 수 있으며,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정보를 쉽게 얻고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컴퓨터는 또래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매개물로 활용되기도 한다. 부정적 영향으로는 아동이 컴퓨터에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어 사회적 관계의 발달을 저해할 수 있으며, 학업성취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공격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사회복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9 (0) | 2022.06.16 |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8 (0) | 2022.06.16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6 (0) | 2022.06.14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5 (0) | 2022.06.14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4 (0) | 2022.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