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자아 정체감의 발달
1) 자아 정체감의 개념
정체감(identity)이란 능력, 신념, 추진력 및 개인적 경력이 내면적으로 자기구성화된 역동적인 체제이다. (Marcia, 1980:159) 자아 정체감은 시간이 흐르거나 상황이 바뀌어도 여전히 본질적으로 불변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으로서, 역할, 목표, 가치 및 이념에 있어서 자기가 지니고 있는 고유성에 대한 지각과 이에 부합되는 자기 통합성과 일관성을 견지해 나가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자아 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존엄성, 신뢰성, 의지, 자기 통제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남성 또는 여성으로서 자신을 수용하고 성에 적합한 행동과 태도를 인식하고 행해야 한다. 또한 다른 사람과 가치, 흥미, 동기 등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은 타인과 다른 독특하고 특별한 개인이라는 자각이 있어야 하며, 시간의 흐름과 경험의 변화 속에서도 자신은 동일한 사람이라는 자기지각의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이처럼 자아 정체감이 확립된 사람은 자기 자신을 타인과 분리된 독특한 개인으로 지각하고, 자신의 특성을 조화롭게 통합해 나가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이 있으며, 자기 자신을 지각하는 일관성을 소유하고 있다. (이옥형, 2002:415)
따라서 자아 정체감이란 자기 자신을 타인과 구별되는 독립된 고유한 존재로 인식하고, 자기 능력, 신념, 가치, 동기, 경력 등을 조화롭게 통합하며, 어떠한 변화에도 자신을 일관성 있게 지각하고자 하는 내면화된 역동적인 체제라 할 수 있다.
2) 자아 정체감의 상태
자아 정체감의 상태에 대해 에릭슨은 정체감 형성과 정체감 혼미로 구분하였다. Marcia(1980)는 에릭슨의 정체감 발달이론을 기초로 하여 청소년의 직업 선택, 종교 및 정치이념에 대한 위기(crisis)와 수행(commitment)의 경험 여부를 조사하여 정체감의 상태를 정체감 유예, 정체감 유실, 정체감 혼미 및 정체감 성취의 4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서 위기는 청소년이 의미 있는 대안들 사이에서 선택하고 있는 정체감 발달의 시기이며, 수행은 청소년이 수행할 개인적인 투자를 나타내는 정체감 발달의 부분이다. (Santrock, 1997:400)
(1) 정체감 혼미
정체감 혼미(identity diffusion)는 정체감 위기나 수행을 아직 경험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직업이나 자신의 신념에 대한 의사결정도 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즉, 이것은 정체감 문제에 대한 관심이나 필요성을 아직 느끼지 못하여 그것이 중요한 쟁점이 아니거나, 쟁점이 되었다 하더라도 절대로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정체감 혼미상태에 있는 청소년은 개인적인 직업계획이나 이념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으며, 자기 발전을 위한 노력이나 무엇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위기의 경험도 없다. 그들은 또한 자신에 대해 안정되고 통합된 견해를 갖는 데 실패하였으므로 어떠한 선택을 하여 그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정체감 혼미는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한 면에 있어서는 정체감 유예와 비슷하지만 위기의 상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정체감 혼미 수준의 청소년은 정체감 성취나 유예 수준의 청소년에 비해 자존심, 자발성, 자제력 등이 떨어지며, 부모와는 독립적이지만 유대감이 적다.
(2) 정체감 유실
정체감 유실(identity foreclosure)은 자신의 가치관이나 진로에 있어서 의문을 제기하거나, 가능한 대안을 생각하는 것과 같은 위기를 경험하지 않고 부모나 다른 역할모델의 가치, 기대 등을 그대로 수용하여 그들과 비슷한 선택을 한 상태이다. 즉, 이것은 직업, 이념 등을 탐색하려는 적절한 기회를 갖고자 하는 위기를 경험하지 않고 선택의 여지도 없이 무조건 의사결정을 내린 상태이다.
정체감 유실 상태에서의 수행은 부모 또는 중요한 타자들에 대한 동일시에 의해서 그리고 부모와 다른 사람들의 사회화 노력, 압력, 주입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은 부모가 좋은 직업이라고 하면 자기 적성을 탐색해 보지도 않고 선택하는 것과도 같다. 정체감 유실에서 나타나는 수행은 정체감 성취에서의 수행과는 대조적인 것으로 진정한 개인적인 탐구와 탐색의 결과가 아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본질적인 질문과 선택을 통한 노력이 없이 그냥 받아들여진 것이다. 정체감 유실 수준의 청소년은 정체감 성취나 유예 수준의 청소년에 비해 자신에 대한 사려가 깊지 못하며, 의존적이고 자신감이 적지만, 부모와 강한 애착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3) 정체감 유예
정체감 유예(identity moratorium)는 정체감 위기상태에 있으면서 자아 정체감 형성을 위해 다양한 역할, 신념, 행동 등을 실험하고 있으나 의사결정을 하지 못한 상태를 말한다. 즉, 정체감 유예에 속한 청소년들은 대안적인 역할과 신념들을 시험해 봄으로써 개인적 정체감을 정의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지만, 아직 수행하지 않았거나 매우 일시적으로 시험적인 수행만을 하는 상태이다.
직업에서 정체감 유예상태에 있는 청소년은 자기 능력, 희망, 적성, 부모의 기대, 사회적 요구 등을 총동원하여 자신에게 최선의 길이 어떤 것인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역할을 실험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자신 스스로의 선택과 타인의 견해 사이에서 동요를 보이며 불확정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정체감 유예상태의 청소년들은 대부분 정체감 성취로 옮겨가지만 그중에는 정체감 혼미 쪽으로 기울어지는 사람도 있다. 그들은 정체감 성취 수준의 청소년들보다 참여의 안정성과 만족도가 떨어지지만,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4) 정체감 성취
정체감 성취(identity achievement)는 정체감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여 직업, 개인적 신념, 삶의 목표, 정치적 견해 등에 대해 청소년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이것은 직업, 이념, 가치 등에서 위기를 경험하고 대안의 탐색을 통하여 청소년 스스로 확고한 신념 체계를 확립한 상태이다.
자아 정체감을 성취한 청소년은 확고한 개인적 정체성을 갖고 있으며, 인성 발달의 모든 분야에서 성숙한 면모를 보인다. 그들은 부모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의 인간관계에서 현실적이고 안정감이 있으며, 자존심이 강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높으며, 자기 확신과 자기 주도적인 경향이 있다.
'사회복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3 (0) | 2022.06.21 |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2 (0) | 2022.06.16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0 (0) | 2022.06.16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9 (0) | 2022.06.16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8 (0) | 2022.06.16 |
댓글